지은이 – 레프 톨스토이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는 1828년 모스크바에서 남쪽으로 약 200km 거리에 있는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톨스토이 백작 가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2살과 9살
때 각각 모친과 부친을 여의고, 이후 큰 고모와 후견인의 보살핌 속에 자라났다. 16세가 되던 1844년에 카잔 대학교 동양어대학 아랍·터키어과에
입학하였으나 사교계를 출입하며 방탕한 생활을 일삼다 곧 중퇴하였다. 23세가 되던 1851년에 입대하여 군복무를 시작하였고 이때 처녀작 『유년시절』을 쓰기
시작하여 1853년에는 『소년시절』을, 1856년에는 『청년시절』을 썼다. 1856년에는 크림전쟁에 직접 참전했던 경험을 토대로 쓴 『세바스토폴
이야기』를 발표하였다. 한편 1859년에 고향인 야스나야 폴랴나에 농민 학교를 세우는 등
농촌 계몽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였으며, 34세가 되던 1862년에
소피야 안드레예브나와 결혼하여 슬하에 모두 13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후
『카자크 인』(1863), 『전쟁과 평화』(1869), 『안나 카레니나』(1877) 등의 주옥 같은 작품들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대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히게 되었다. 하지만 이후 사상의 전환을 맞이하여 『교리신학 연구』(1880), 『참회록』(1882)을 발표하는 등 기존의 순수예술에서 점차 벗어나 도덕적인 신념을 강조하고 자신만의 종교를 설파하였는데, 이로 인해 1901년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파문을 당했다. 노년에 접어들어서도 왕성한 집필 활동을 통해 『이반 일리이치의 죽음』(1886), 『크로이처
소나타』(1889), 『예술이란
무엇인가』(1897), 『부활』(1899) 등을 계속해서 발표했다. 사유재산을 부정하여 발생한 부인 소피야와의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했던 톨스토이는 1910년 끝내 노구의 몸을 이끌고 가출하였다가 아스타포보 기차역에서
조용히 생을 마감했다.
옮긴이 – 허선화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석사.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과학아카데미 산하 러시아연구소 박사.
도스토옙스키 연구의 권위자인 V. E. 베틀롭스카야를 지도교수로 하여 박사 논문 『정교 콘텍스트에서 본 도스토옙스키 미학의 문제들』을 썼다. 현재
고려대, 부산대, 대전대,
조선대 등에서 러시아 문학과 역사, 문화 등을, 한남대
탈메이지교양교육대학에서 러시아 문화와 예술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장신대, 충남대, 한남대 등지에서 러시아 문학에 대한 다수의 특강을 한 바
있다.
역서로는 『교회는 하나다/서구 신앙 고백에 대한 정교 그리스도인의 몇 마디』(2010), 『러시아 신학의 여정 1,2』(2016)가 있고 『바흐찐과 기독교』(2009), 『정교신학개론』(2017)을 공역했다.
2003년도에 기독교 러시아어문학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러시아
기독문화 연구회’를 결성하여 러시아 정교 문화에 대한 연구 및 번역활동을 꾸준히 해 오고 있다. 함께 공역한 책으로는 『바흐찐과 기독교』(2009), 『정교신학개론』(2017)이 있으며, 러시아 정교 영성의 고전 중의
고전이라 할 수 있는 『도브로톨류비예』를 현재 공역하고 있다.